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지원내용
개요
민생 안정, 경제활력, 국민 안정, 미래 대비를 위해 24년부터 복지 혜택이 늘어나고 달라져요. 오늘은 24년에 달라질 내용들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생계급여
지원내용 | 23년 | 24년 |
최대 생계급여액 (4인 가구) |
162만원/월 (+19.6만원) |
183.4만원/월 (+21.3만원) |
선정기준 상향 (기준중위소득 대비) |
30% | 32% (3.9만 가구 신규 편입) |
생업용 자동차 재산의 월소득환산율 | 4.17% | 소득산정 제외 (6.5만 가구 혜택) |
다자녀/다인가구, 도서벽지 자동차 재산의 월소득환산율 |
100% (0.5만 가구 혜택) | 4.17% (0.5만 가구 혜택) |
근로소득공제 청년특례 적용 연령 (일반공제) (일반공제 - 소득산정시 근로소득의 30%공제) (청년특제 - 근로소득에서 40만원 공제후 30%공제) |
24세 이하 | 29세 이하 (1.2만 가구 혜택) |
의료급여
구분 | 2023년 | 2024년 |
---|---|---|
중증 장애인에 대한 부양의무자 기준 | 적용 | 폐지 |
부양 의무자 재산 기준 개선 (기본 재산 공제액 상향) |
2.28억원 (서울) |
3.64억원 (서울) |
주거급여
구분 | 2023년 | 2024년 |
---|---|---|
선정기준 상향 (기준 중위소득 대비) | 47% | 48% |
최대 주거급여액 (서울, 4인가구) | 51.0만원/월 | 52.7만원/월 (+1.7만원) |
저소득층 교육급여
구분 | 2023년 | 2024년 |
---|---|---|
교육급여액 (중위소득 50%이하)) |
초등 41.5만원 중동 58.9만원 고등 65.4만원 |
46.1만원 (+4.6만원) 65.4만원 (+6.5만원) 72.7만원 (+7.3만원) |
장애인
구분 | 23년 | 24년 | ||
최중증 발단 장애인 단계별 1:1돌봄 |
그룹형(주간) | 신규 | 1,500명 | |
개별(주간) | 신규 | 500명 | ||
24시간 | 1개소 | 전국확대 (340명) | ||
장애인 활동 지원 서비스 확대 |
11.5만명 | 12.4만명 | ||
중증 장애아 돌봄 지원 (학습, 놀이활동 지원) |
월 80시간 | 월90시간 | ||
발달 장애인 거점 병원 | 12개 | 16개 | ||
장애인 연금 | 최대 월 40.3만원 | 최대 월 41.4만원 | ||
장애인 취업성공 패키지 (취업계획, 수립-훈련-취업까지 통합지원) |
1.1만명 | 1.3만명 |
취약청년
구분 | 23년 | 24년 |
가족 돌봄 서비스 바우처 기간 확대 / (월70만원) |
6개월(하반기 시행) | 12개월 |
신체, 정신건강 개선 자기돌봄비 |
신규 | 분기당 50만원 (연 최대 200만원 지원) |
은둔형 청년 방문상담, 공동생활 경험 가족 관계 회복 지원 |
신규 | 청년 320명 가족 640명 |
자립기반
구분 | 23년 | 24년 |
자립수당 (18세 이후 보호종료 청년) | 40만원 / 월(5년간) | 50만원/월(5년간) |
NEED 청년 플랫폼 | 신규 | 10개소 |
특성대학, 아카데미 | 반도체 920명 | 반도체/ 이차전지 2450명 |
한미첨단분야 청년교류 | 신규 | 300명 |
빈일자리 취업 장려금 (조선, 물류 등) |
신규 | 최대 200만원(6개월간) |
생활지원
구분 | 23년 | 24년 |
대중교통 요금할인 K-PASS (월 20회 초과시, 7월도입) |
알뜰 교통카드(~24.6) | 청년 30할인 (일반20%, 저소득층 53%) |
기술자격시험 응시 (산업인력공단 수행 493개) |
신규 | 응시료 50% 할인 (최대 3회/연) |
기초, 차상위계층 국가장학금 | 700만원~전액지원 | 전액지원 |
공동주택 분양 | 5.3만호 | 6.7만호 |
공동주택 임야 | 5.2만호 | 5.7만호 |
군인
구분 | 23년 | 24년 | |
간사, 간부 숙소 노후시설 전량 | 개선 | 1.4만개 | 4.2만개 |
건립 | 1.7만개 | 1.9만개 | |
복무장려금 지원액인상 | 장교 | 900만원 | 1200만원 |
부사관 | 750만원 | 1000만원 | |
복무장려금 대상 확대 | 대학재단 학사, 학군단(7,058명) | 대학졸업 학사장교까지 포함(7,441명) | |
병사봉금(병장기준) | 100만원 | 125만원 | |
사회진출 지원금 | 30만원 | 40만원 | |
복무환경 | 신규 | 얼음정수기 (1.5만개) 플리스형스웨터(전 장병) 지급 |
내용 정리
1. 현황
- 생계급여의 점진적 인상 노력이 진행되었으며, 지난 정부 5년간에는 19.6만원의 급여액 인상이 이루어졌습니다.
- 의료급여의 부양의무자 기준이 완화되었으며, 중중장애인 부양의무자 기준이 폐지되어 3.5만명의 신규 수급자가 추가되었습니다.
- 선정기준이 상향 조정되어 중위 소득 30% 이상의 가구에 대한 지원이 32%까지 확대되어 3.9만 가구가 신규로 지원받게 되었습니다.
- 생계급여 급여액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4인 가구 기준으로 +21.3만원까지 인상되었습니다.
2. 문제점
- 보장수준 강화 요구는 지속되고 있으며, 약자 및 저소득층의 필요를 충분히 충족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 생계급여와 의료급여의 높은 수요로 인해 급여액 인상 및 신규 지원자의 수 증가에 대한 지속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 약자의 의료비 부담 완화와 생활 안정을 위해 계속해서 제도개선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결론
약자복지 이행을 위해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지속적인 제도개선과 보장 수준 강화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야 합니다.
2023.08.31 - [정보] - 2024년 국가 재정, 복지 지원 안내 총정리
2024년 국가 재정, 복지 지원 안내 총정리
개요 정부는 재정 정상화로 확보한 재원을 20대 핵심과제에 과감하게 재투자해 모든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약자복지·미래준비에 집중투자할 계획 입니다. 1. 따뜻한 동행을 위한 약자복지 역대
eco-maru.tistory.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부모급여금액 1800만원2년간 지원 (43) | 2023.09.07 |
---|---|
아이폰 15 스펙, 출시일, 사전예약 정보 (0) | 2023.09.05 |
몽골의 역사와 수도/명소/문화/음식에 대하여 (8) | 2023.09.03 |
추석 명절 무료 주차장 편하게 찾는법! (1) | 2023.09.02 |
23년 추석 10월2일 임시공휴일 지정! 연휴 할인 및 혜택 (0) |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