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북한과 러시아가 체결한 관한 조약 내용

by 경마루 2024. 6. 21.
반응형

북-러 포괄적 전략 동반자 조약 개요

  • 북한과 러시아는 2024년 6월 19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 이 조약은 총 23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조에 따르면 어느 한쪽이 무력 침공을 받아 전쟁 상태에 놓이면 상대방이 지체 없이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 이는 사실상 동맹 수준의 관계로 볼 수 있으며, 과거 소련과 북한이 체결했던 조약과 유사한 내용입니다.
  •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조약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북-러 조약의 주요 내용

  1. 경제 및 무역 협력 강화(제4조)
  2. 외교·안보 분야 협력 증진(제5조)
  3. 인적·문화 교류 확대(제6조)
  4. 국제무대에서의 협력 강화(제7조)

 

  • 상호 안보 보장: 어느 한쪽이 무력 침공을 받아 전쟁 상태에 놓이면 상대방이 지체 없이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 경제 협력 강화: 에너지, 광물자원, 농업, 산업, 교통,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 문화 교류 증진: 교육, 과학, 문화, 체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기로 했습니다.
  • 국제무대 협력: 유엔, 상하이협력기구 등 국제무대에서 상호 이해와 지지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확인하기

 

 

 

연합 뉴스 확인하기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내용

이 조약은 총 23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제4조가 가장 핵심적인 내용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제4조: 상호 군사 지원

  • 제4조는 "쌍방 중 어느 일방이 외부로부터의 무력침공을 받을 경우, 상대방은 즉각적인 군사적 지원을 제공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이는 북한이 외부의 무력 공격을 받을 경우 러시아가 즉각 군사 개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하지만 이 조항은 유엔 헌장과 양국 국내법에 따른 '2중의 완충장치'가 포함되어 있어, 자동적인 군사 개입은 아닙니다.


이번 조약 체결은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한반도와 동북아 지역 안보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이 조약이 어떻게 작용할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북-러 조약의 배경 및 의미

이번 조약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가 더욱 긴밀해진 것을 반영합니다. 북한은 러시아와의 관계 강화를 통해 국제사회의 고립을 해소하고 경제적 지원을 받고자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러시아 입장에서는 북한과의 동맹 관계 강화를 통해 서방의 제재에 대응하고 동북아시아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북-러 관계의 미래

이번 조약은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를 사실상의 동맹 수준으로 격상시켰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향후 북한과 러시아는 이 조약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군사 및 안보 분야에서의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한반도 및 동북아 지역의 안정과 평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맺음말

이상으로 북한과 러시아가 체결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이 조약은 북-러 관계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며, 향후 동북아 지역 정세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입니다.